UID: 20190112
Kim Ki Hoon
I keep the promise between professor
Lee and I
Homework_8
homework_7
로 동일
빠른 서버(fast
sever): 처리속도 , break속도수리속도
느린 서버(slow
sever): 처리속도 , break속도수리속도
빠른서버 break 상태확률=Pfxi, 빠른서버 정상 상태 확률=Pfoi, 느린서버 break 상태확률=Pfxi, 느린서버 정상 상태확률 =Pfoi (i=그상태의 wip의수)
network model)
확률 식)
28P0=5Pfo1+4Pso1
14Pfo1=7P0+7Pfx1+5Pfo2
14Pfo2=7Pfo1+7Pfx2+5Pfo3
14Pfo3=7Pfo2+7Pfx3+Pfo4
7Pfo4=7Pfo3+7Pfx4
14Pfx1=7P0+2Pfo1
14Pfx2=7Pfx1+2Pfo2
14Pfx3=7Pfx2+2Pfo3
7Pfx4=Pfx3+2Pfo4
12Pso1=7P0+10Psx1+4Pso2
12Pso2=7Pso1+10Psx2+4Pso3
12Pso3=7Pso2+10Psx3+4Pso4
5Pso4=7Pso3+10Psx4
17Psx1=7P0+1Pso1
17Psx2=7Psx1+1Pso2
17Psx3=7Psx2+1Pso3
10Psx4=7Psx3+1Pso4 => P0+Pfo1+ Pfo2+ Pfo3+ Pfo4+ Pfx1+ Pfx2+ Pfx3+ Pfx4+ Pso1+Pso2+ Pso3+ Pso4+Psx1+ Psx2+ Psx3+ Psx4=1
matlab)
결과창)
P0=0.0101
P1=0.0282+0.0090+0.0352+0.0062=0.0786
P2=0.0521+0.0120+0.0725+0.0068=0.1434
P3=0.0897+0.0188+0.1387+0.0110=0.2582
P4=0.1518+0.0622+0.2620+0.0339=0.5099
homework_6
case 1)
case 2)
homework_5
Case 1)
Case 2)
homework_4
maximal_flow_network)
Node = 17
Edge = 64
Rank = 17
obj)
min -x1-x2-x3-x4
s.t
x1+x2+x3+x4 = x53+x54+x55+x56+x57+x58+x59+x60+x61+x62+x63+x64
x1+x2+x5+x6+x7 = x8+x9+x10+x11+x12+x13
x3+x4 = x5+x6+x7+x14+x15+x16+x17+x18+x19
x8+x9+x10=x20+x21+x22
x11+x12+x13 = x23+x24+x25
x14+x15+x16 = x26+x27+x28+x29+x30+x31
x17+x18+x19 = x32+x33+x34
x20+x21+x22+x23+x24+x25+x26+x27+x28 = x35+x36+x37+x38+x39+x40
x29+x30+x31+x32+x333+x34 = x41+x42+x43+x44+x45+x46
x35+x36+x37+x47+x48+x49 = x53+x54+x55
x38+x39+x40 = x47+x48+x49+x56+x57+x58
x41+x42+x43 = x59+x60+x61+x50+x51+x52
x44+x45+x46+x50+x51+x52 = x62+x63+x64
x1 = x53+x56
x1 = x8+x11
x8 = x20
x11 = x23
x20+x23 = x35+x38
x35+x47 = x53
x38 = x47+x56
x2+x3 = x54+x57+x60+x63
x2+x6 = x9+x12
x3 = x6+x15+x18
x9 = x21
x12 = x24
x14 = x27+x30
x18 = x33
x21+x24+x27 = x36+x39
x30+x33 = x42+x45
x36+x48 = x54
x39 = x48+x57
x42 = x51+x60
x45+x51 = x63
x4 = x55+x58+x61+x64
x4 = x7+x16+x19
x7 = x10+x13
x10 = x22
x13 = x25
x16 = x28+x31
x19 = x34
x22+x25+x28 = x37+x40
x31+x4 = x43+x46
x37+x49 = x55
x40 = x49+x58
x43 = x52+x61
x46+x52 = x64
ax ≤ b)
homework_3
obj= 14x1+11x2+42x3+48x4+60x5+52x6+12x7+13x8+3x19+22x10+35x11+32x12+19x13+24x14+27x15+40x16+27x17+8x18+13x19+56x20+43x21+36x22+38x23+23x24+3x25+33x26+20x27+29x28+26x29+34x30+2x31
st=
x1+x2=1
x1=x3+x4+x5
x3=x7+x8
x7=x13+x14+x15
x13=x20+x21
x21+x22=x24
x20+x24=x29
x14=x22
x15+x16+x10=x23+x26
x8+x9=x16
x26+x31+x18=x25
x5=x10
x10+x16=x23+x26
x2=x6
x6=x11+x12
x12=x17+x18+x19
x17=x31
x26+x19+x18=x25
x11+x27=x28+x30
x29+x23+x25+x28+x30=1
Node=20
Edge =31
Rank=20
최적해 sp -> x2 -> x6 -> x12 -> x18 -> x25 -> tp
Home work2
Home work1
로봇 청소기가 청소 중 충전을 필요하게 되어
충전 스테이션으로 돌아가는 과정 서술
로봇 청소기를 설치하는 영상을 여러 개 시청 하여 가정을 낸 결과이다. 먼저 처음 로봇 청소기를 사면 충전 스테이션을 한쪽 벽면에, 그리고
주변에 일정 거리 이상 아무것도 없도록 설치한다. 그리고 로봇청소기 본체를 충전 스테이션에
위치시킨 후 배터리가 충전되고 난 후 청소기를 작동 시키면 초반에 로봇 청소기는 깔끔하게 작동하지 않고 여기저기 부딪히고 높은 턱 근처도 가다가
되돌아가고 조금씩 이동 하거나 회전을 자주하는 비효율적인 경로로 움직인다.
이는 범퍼센서와 빛의 입사와 반사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 등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건물 마다의
벽 구조, 가구 구조 등 장애물들을 인식하는 과정이므로 청소기의 동작이 자연스럽지 못하고 시간도
오래 걸린다. 즉 각 가정에 맞게끔 환경을 인식한후 이를 지도화 하여 먼저 지도를 그린 후
그 다음 청소 작업을 시작한다. 즉 사전에 미리 주변 환경을 학습한 뒤 청소를 진행하면서 추가적으로
학습을 계속한다. 그 후 배터리와 연결된 부품에서 충전이 필요함을 인식 하면 해당 부품은 충전
스테이션과 청소기 각 각에 충전이 필요하다고 신호하게 되고 청소기나 충전스테이션 둘다 신호를 받을 때 까지 신호를 계속 보내게 할 것이다.
이 후 신호를 받은 충전 스테이션은 스테이션 자체에 있는 센서 로 청소기에게 신호를 보내고 청소기는
수신부에 해당 신호를 받고 다시 신호를 충전 스테이션으로 보내면서 서로 간 거리와 방향 장애물들이 있는지 확인하면서 청소기 본체가 충전 스테이션으로
접근 할 것이다.
또한 만약 충전 스테이션과 청소기가 충전이 필요하나 서로간 신호를 주고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
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청소기의 배터리 잔량이 일정 수준 이상일 때 청소가 가능하고 일정 수준 이하 일때는 청소를 중지하고 미리 그려둔 지도를 통해
과거 충전 스테이션이 위치 해 있는 곳을 향해 이동하면서 충전스테이션이 신호를 수신할 때 까지 충전필요 신호를 계속 보낼 것 이다.